728x90
반응형
SMALL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했다.

  • SRP: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OCP: 확장에는 열려있고 변경에는 닫혀있는 원칙 (Open/Closed Principle)
  •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하나씩 알아보자.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이라는 뜻의 SRP. 무슨 말일까?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책임의 크기를 말하는게 아니다. 문맥과 상황에 따라서도 다르다.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

예를 들어, MVC 패턴에서 V는 View이다. UI와 관련된 책임을 가지는 부분이고 이 곳에선 비즈니스 로직이나 그 외 것들엔 책임을 지게 해선 안된다(안되는게 좋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JSP가 대체 기술이 생긴 이유는 이 단일 책임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기 때문이다.

JSP는 뷰와 로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책임이 너무 크고 분산되어 있지 않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스프링 MVC 패턴이 등장했다.

 

OCP (Open/Closed Principle)

개방-폐쇄 원칙이라고 하는데 난 확장에는 열려있고 변경에는 닫혀있는 원칙이라고 표현한다. 

즉, 기술의 확장이 있어도 코드의 변경이 없어야 한다는 뜻인데 굉장히 알 수 없는 말이다. 

 

무엇을 떠올리면 되냐면 DI를 떠올리면 된다. 클라이언트 코드는 그저 인터페이스만을 의존한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기술이 10개든 100개든 어떤 기술이 새로 만들어지고 어떤 기술로 갈아끼우던지 클라이언트 코드는 변경할 부분이 없다. 인터페이스를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게 OCP 원칙이고 5가지 원칙 중 가장 중요한 원칙이라고 생각한다. 의존관계의 결정을 나중으로 미루는 것. 그에 따라 확장성과 유지보수에 훨씬 유리해지고 코드의 변경은 최소화하거나 아예 하지 않아도 된다.

 

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이라고 하는데 제일 어려워 보이지만 제일 쉬운 원칙이다.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무슨 말이세요?"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자동차라는 인터페이스가 있고 엑셀밟기 라는 메서드를 정의했으면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현체는 엑셀밟기 메서드를 구현할 때 앞으로 가는 기능을 구현해야 하지 뒤로 가는 기능을 구현해선 안된다는 뜻이다. 프로그램이 의도하는 정확성을 지켜야 한다는 뜻이다. 근데 스포츠카와 기본 자동차는 같은 엑셀을 밟더라도 속도의 차이가 현저히 날 수 있다. 그러나 둘 다 엑셀을 밟으면? 앞으로 간다. 이게 포인트.

 

그 구현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더라도 정확한 의도대로 구현해야 한다는 원칙.

 

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예를 들어, 자동차 인터페이스가 있을 때 이 인터페이스는 운전과 관련된 메서드와 정비와 관련된 메서드 둘 다를 정의할 수 있지만 애시당초에 자동차 인터페이스를 운전 인터페이스,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하는게 더 좋다는 것이다.

 

왜 더 좋을까?

 

첫번째는, 저 둘로 분리하게 됐을 때 정비 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해도 운전자 클라이언트 - 운전 인터페이스 간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두번째는,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관계 역전 원칙으로, OCP와 같이 중요한 원칙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

 

쉽게 이야기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는 구체클래스를 의존하는게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의존해서 기술에 변경이 있어도 클라이언트 코드에 수정이 필요없게 설계하라는 뜻이다. 이 말을 한 단어로 DI라고 하는 것이고. 의존관계의 결정을 나중으로 미루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