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Spring boot 3

JdbcTemplate

Spring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할 때 사용되는 기술 중 빠지지 않고 잘 사용되는 기술인 JdbcTemplate을 사용하는 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JdbcTemplate은 기존 JDBC 기술을 직접 사용할 때 겪는 문제들을 해결해 준다. 예를 들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코드 작성이나 반복적인 커넥션 후처리와 같은 것들. 나는 개인적으로는 JdbcTemplate을 사용하지 않고 Spring Data JPA와 Querydsl을 같이 사용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그러나, 이 JdbcTemplate은 알아둘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서 기록하고자 한다.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우선, JdbcTemplate 라이브러리를 받아야 한다. build.gradle //JdbcTemplate implementa..

Spring + DB 2023.12.06

Spring Boot 3.1.5에서 QueryDSL 설치하기

Spring Data JPA와 같이 사용하면 막강의 쿼리 작성을 할 수 있는 QueryDSL을 프로젝트에 설정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하도 버전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이 달라져서 스프링 부트 3.1.5, Gradle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작성했다. (아마 3.x.x라면 다 이 방법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버전 정보 Software or Framework Version Spring Boot 3.1.5 QueryDSL 5.0.0 Gradle 8.4 시작하기 우선, build.gradle 파일에서 아래와 같은 dependencies를 추가해준다. build.gradle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

[Spring Boot] 서버 재시작을 하지 않고 static 파일 변경 적용하기

Spring boot로 개발을 하고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위해 Thymeleaf를 사용하다보면 template 파일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 때마다 변경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서버를 재시작하기는 꽤 귀찮은 일이다. 이 때 개발환경에서는 spring-boot-devtools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좀 더 간편하게 변경사항을 반영시킬 수 있다. build.gradl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build.gradle 파일에서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를 하나 추가해준다. 서버를 재시작 하면 서버 실행 로그의 쓰레드의 이름이 restartedMain으로 보여진다. 이러면 spring-boot-devt..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