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참고자료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강의 | 김영한 - 인프런

김영한 |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애노테이션을 기초부터 실무 레벨까지 깊이있게 학습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를 자바로 직접 만들어봅니다., 국내 개발 분야 누적 수강생 1위, 제대로

www.inflearn.com

 

HTTP 서버1 - 시작

HTTP 서버를 직접 만들어보자. 웹 브라우저에서 우리 서버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HTML을 응답하는 것이다.

<h1>Hello World</h1>

그러면 웹 브라우저가 "Hello World"를 크게 보여줄 것이다.

 

참고로, HTML은 <html>, <head>, <body>와 같은 기본 태그를 가진다. 원래는 이런 태그도 함께 포함해서 전달해야 하지만, 예제를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최소한의 태그만 사용하겠다.

 

HttpServerV1

package cwchoiit.was.v1;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public class HttpServerV1 {

    private final int port;

    public HttpServerV1(int port) {
        this.port = port;
    }

    public void start()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port);
        log("서버 시작 port: " + port);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process(socket);
        }
    }

    private void process(Socket socket) throws IOException {
        try (socket;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ocket.getInputStream(), UTF_8));
             PrintWriter writer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String requestString = requestToString(reader);

            if (requestString.contains("/favicon.ico")) {
                log("favicon 요청");
                return;
            }

            log("HTTP 요청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requestString);

            log("HTTP 응답 생성 중...");
            sleep(5000);
            responseToClient(writer);
        }
    }

    private static void sleep(int millis) {
        try {
            Thread.sleep(millis);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ivate void responseToClient(PrintWriter writer) {
        String body = "<h1>Hello World</h1>";
        int length = body.getBytes(UTF_8).length;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HTTP/1.1 200 OK\r\n");
        sb.append("Content-Type: text/html\r\n");
        sb.append("Content-Length: ").append(length).append("\r\n");
        sb.append("\r\n");
        sb.append(body);

        log("HTTP 응답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sb);

        writer.println(sb);
        writer.flush();
    }

    private String requestToString(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line;
        while ((line = reader.readLine()) != null) {
            if (line.isEmpty()) {
                break;
            }
            sb.append(line).append("\n");
        }

        return sb.toString();
    }
}
  • HTTP 메시지의 주요 내용들은 문자로 읽고 쓰게 된다.
  • 따라서, 여기서는 BufferedReader, PrintWriter를 사용했다.
  • StreamReader, Writer로 변경할 때는 항상 인코딩을 확인하자.

 

AutoFlush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PrintWriter의 두번째 인자는 autoFlush 여부이다.
  •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println()으로 출력할 때마다 자동으로 플러시된다.
  • 그러면 첫 내용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전송이 자주 발생된다.
  • 이 값을 false로 설정하면, flush()를 직접 호출해주어야 데이터를 전송한다.
  • 데이터를 모아서 전송하므로, 네트워크 전송 횟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 패킷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담아서 전송할 수 있다.
  • 여기서는 false로 설정했으므로, 마지막에 꼭 writer.flush()를 호출해야 한다.

requestToString()

  • HTTP 요청을 읽어서 String으로 반환한다.
  • HTTP 요청의 시작 라인, 헤더까지 읽는다.
  • line.isEmpty()이면, HTTP 메시지 헤더의 마지막으로 인식하고 메시지 읽기를 종료한다.
  • HTTP 메시지 헤더의 끝은 빈 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빈 라인 이후에는 메시지 바디가 나온다.
  • 참고로 여기서는 메시지 바디를 전달하지 않으므로, 메시지 바디의 정보는 읽지 않는다.

/favicon.ico

  •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사이트의 작은 아이콘을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무시한다.

sleep(5000); // 서버 처리 시간

  • 예제가 단순해서 응답이 너무 빠르다.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데 약 5초의 시간이 걸린다고 가정하는 코드이다.

responseToClient()

  •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 시작라인, 헤더, HTTP 메시지 바디를 전달한다.
  • HTTP 공식 스펙에서 다음 라인은 \r\n(캐리지 리턴 + 라인 피드)로 표현한다. 참고로 \n만 사용해도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문제없이 작동한다. (캐리지 리턴은 커서가 현재 문장에 가장 앞으로 가는 이스케이프 문자)
  • 마지막에 writer.flush()를 호출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ServerMain

package cwchoiit.was.v1;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ServerMain {

    private static final int PORT = 1234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HttpServerV1 server = new HttpServerV1(PORT);
        server.start();
    }
}
  •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다음 사이트에 접속해보자. 5초간 기다려야 한다. 
    • http://localhost:12345 
    • http://127.0.0.1:12345

 

 

이러한 문장이 5초 뒤에 딱 나왔다.

 

실행 결과

17:57:48.634 [     main] 서버 시작 port: 12345
17:57:57.123 [     main] HTTP 요청 정보 출력:
GET / HTTP/1.1
Host: localhost:12345
Connection: keep-alive
sec-ch-ua: "Brave";v="129", "Not=A?Brand";v="8", "Chromium";v="129"
sec-ch-ua-mobile: ?0
sec-ch-ua-platform: "macOS"
Upgrade-Insecure-Requests: 1
User-Agent: 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_15_7)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29.0.0.0 Safari/537.36
Accept: text/html,application/xhtml+xml,application/xml;q=0.9,image/avif,image/webp,image/apng,*/*;q=0.8
Sec-GPC: 1
Accept-Language: en-US,en
Sec-Fetch-Site: none
Sec-Fetch-Mode: navigate
Sec-Fetch-User: ?1
Sec-Fetch-Dest: document
Accept-Encoding: gzip, deflate, br, zstd
Cookie: sr-selectedScriptRoot=/Users/choichiwon/Atlassian/scriptrunner-skeleton/jira/target/jira/home/scripts; screenResolution=2560x1440; wordpress_test_cookie=WP%20Cookie%20check; wp-settings-time-1=1723983516

17:57:57.124 [     main] HTTP 응답 생성 중...
17:58:02.127 [     main] HTTP 응답 정보 출력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Content-Length: 20

<h1>Hello World</h1>
17:58:02.185 [     main] favicon 요청

요청 부분

HTTP 요청 메시지

GET / HTTP/1.1
Host: localhost:12345
Connection: keep-alive
sec-ch-ua: "Brave";v="129", "Not=A?Brand";v="8", "Chromium";v="129"
sec-ch-ua-mobile: ?0
sec-ch-ua-platform: "macOS"
Upgrade-Insecure-Requests: 1
User-Agent: 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_15_7)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29.0.0.0 Safari/537.36
Accept: text/html,application/xhtml+xml,application/xml;q=0.9,image/avif,image/webp,image/apng,*/*;q=0.8
Sec-GPC: 1
Accept-Language: en-US,en
Sec-Fetch-Site: none
Sec-Fetch-Mode: navigate
Sec-Fetch-User: ?1
Sec-Fetch-Dest: document
Accept-Encoding: gzip, deflate, br, zstd
Cookie: sr-selectedScriptRoot=/Users/choichiwon/Atlassian/scriptrunner-skeleton/jira/target/jira/home/scripts; screenResolution=2560x1440; wordpress_test_cookie=WP%20Cookie%20check; wp-settings-time-1=1723983516
  • http://localhost:12345를 요청하면, 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 메시지를 만들어서 서버에 전달한다.

시작 라인

  • GET: GET 메서드
  • /: 요청 경로, 별도의 요청 경로가 없으면 /를 사용한다.
  • HTTP/1.1: HTTP 버전

헤더

  • Host: 접속하는 서버 정보
  • User-Agent: 웹 브라우저의 정보
  • Accept: 웹 브라우저가 전달 받을 수 있는 HTTP 응답 메시지 바디 형태
  • Accept-Encoding: 웹 브라우저가 전달 받을 수 있는 인코딩 형태
  • Accept-Language: 웹 브라우저가 전달 받을 수 있는 언어 형태

응답 부분

HTTP 응답 메시지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Content-Length: 20

<h1>Hello World</h1>

 

시작 라인

  • HTTP/1.1: HTTP 버전
  • 200: HTTP 상태 코드(성공)
  • OK: 200에 대한 설명

헤더

  • Content-Type: HTTP 메시지 바디의 데이터 형태, 여기서는 HTML을 사용
  • Content-Length: HTTP 메시지 바디의 데이터 길이

바디

<h1>Hello World</h1>

 

 

솔직히, 신기하다. 스프링으로만 웹 서버를 개발하느라 단 한번도 이렇게 서버를 띄워본 적이 없었는데.. 이런 기조가 깔려있었구나.

지금 우리 서버의 문제는..

서버는 동시에 수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서버는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 처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웹 브라우저를 2개를 동시에 열어서 사이트를 실행해보자. 첫번째 요청이 모두 처리되고 나서 두번째 요청이 처리되는것을 알 수 있다. 당연히 코드 상에 이렇게 되어 있으니까.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process(socket);
}
  • accept()는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그때 소켓을 반환하고 process(socket)을 실행한다. 이 상태에서 아무리 요청을 해도 process(socket)이 끝나야 다시 accept()로 돌아갈 수 있다.

 

HTTP 서버2 - 동시 요청

스레드를 사용해서 동시에 여러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서버를 개선해보자.

 

HttpRequestHandler

package cwchoiit.wa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UTF_8;

public class HttpRequestHandler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final Socket socket;

    public HttpRequestHandler(Socket socket) throws IOException {
        this.socket = socket;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socket;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ocket.getInputStream(), UTF_8));
             PrintWriter writer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String requestString = requestToString(reader);
            if (requestString.contains("/favicon.ico")) {
                log("favicon 요청");
                return;
            }

            log("HTTP 요청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requestString);

            log("HTTP 응답 생성 중...");
            sleep(5000);
            responseToClient(writer);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ivate void sleep(int millis) {
        try {
            Thread.sleep(millis);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ivate void responseToClient(PrintWriter writer) {
        String body = "<h1>Hello World</h1>";
        int length = body.getBytes(UTF_8).length;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HTTP/1.1 200 OK\r\n");
        sb.append("Content-Type: text/html\r\n");
        sb.append("Content-Length: ").append(length).append("\r\n");
        sb.append("\r\n");
        sb.append(body);

        log("HTTP 응답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sb);

        writer.println(sb);
        writer.flush();
    }

    private String requestToString(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line;
        while ((line = reader.readLine()) != null) {
            if (line.isEmpty()) {
                break;
            }
            sb.append(line).append("\n");
        }

        return sb.toString();
    }
}
  • 클라이언트의 HttpRequestHandler는 이름 그대로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HTTP 요청을 처리한다.
  • 동시에 요청한 수만큼 별도의 스레드에서 HttpRequestHandler가 수행된다.

 

HttpServerV2

package cwchoiit.was.v2;

import cwchoiit.was.HttpRequestHandl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public class HttpServerV2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rivate final int port;

    public HttpServerV2(int port) {
        this.port = port;
    }

    public void start()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port);
        log("Starting HttpServerV2 server on port " + port);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es.submit(new HttpRequestHandler(socket));
        }
    }
}
  • ExecutorService: 스레드 풀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newFixedThreadPool(10)을 사용해서 최대 동시에 10개의 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10개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것이다.
  • 참고로 실무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수백개 정도의 스레드를 사용한다.
  • es.submit(new HttpRequestHandler(socket)): 스레드 풀에 HttpRequestHandler 작업을 요청한다.
  • 스레드 풀에 있는 스레드가 HttpRequestHandlerrun()을 수행한다. 

 

HttpServerMainV2

package cwchoiit.was.v2;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HttpServerMainV2 {

    private static final int PORT = 1234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new HttpServerV2(PORT).start();
    }
}

 

HTTP 서버3 - 기능 추가

HTTP 서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했다면, 이제 기능을 추가해보자.

HTTP 서버들은 URL 경로를 사용해서 각각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제 URL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보자.

 

다음 사진은 `http://localhost:12345`로 진입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 home: `/` 첫 화면
  • site1: `/site1` 페이지 화면1
  • site2: `/site2` 페이지 화면2
  • search: `/search` 기능 검색 화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검색어를 전달할 수 있다.
  • notFound: 잘못된 URL을 호출했을 때 전달하는 화면

HttpRequestHandlerV3 

package cwchoiit.was.v3;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net.URLDecoder;
import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UTF_8;

public class HttpRequestHandlerV3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final Socket socket;

    public HttpRequestHandlerV3(Socket socket) throws IOException {
        this.socket = socket;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socket;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ocket.getInputStream(), UTF_8));
             PrintWriter writer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String requestString = requestToString(reader);
            if (requestString.contains("/favicon.ico")) {
                log("favicon 요청");
                return;
            }

            log("HTTP 요청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requestString);

            log("HTTP 응답 생성 중...");
            if (requestString.startsWith("GET /site1")) {
                site1(writer);
            } else if (requestString.startsWith("GET /site2")) {
                site2(writer);
            } else if (requestString.startsWith("GET /search")) {
                search(writer, requestString);
            } else if (requestString.startsWith("GET / ")) {
                home(writer);
            } else {
                notFound(writer);
            }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ivate void site1(PrintWriter writer) {
        writer.println("HTTP/1.1 200 OK");
        writer.printl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writer.println();

        writer.println("<h1>Site1</h1>");
        writer.flush();
    }

    private void site2(PrintWriter writer) {
        writer.println("HTTP/1.1 200 OK");
        writer.printl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writer.println();

        writer.println("<h1>Site2</h1>");
        writer.flush();
    }

    private void search(PrintWriter writer, String requestString) {
        int startIndex = requestString.indexOf("q=");
        int endIndex = requestString.indexOf(" ", startIndex + 2);

        String query = requestString.substring(startIndex + 2, endIndex);

        String decode = URLDecoder.decode(query, UTF_8);

        writer.println("HTTP/1.1 200 OK");
        writer.printl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writer.println();

        writer.println("<h1>Search</h1>");
        writer.println("<ul>");
        writer.println("<li>query = " + query + "</li>");
        writer.println("<li>decode = " + decode + "</li>");
        writer.println("</ul>");
        writer.flush();
    }

    private void home(PrintWriter writer) {
        writer.println("HTTP/1.1 200 OK");
        writer.printl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writer.println();

        writer.println("<h1>Home</h1>");
        writer.println("<ul>");
        writer.println("<li><a href='/site1'>site1</a></li>");
        writer.println("<li><a href='/site2'>site2</a></li>");
        writer.println("<li><a href='/search?q=hello'>search</a></li>");
        writer.println("</ul>");

        writer.flush();
    }

    private void notFound(PrintWriter writer) {
        writer.println("HTTP/1.1 404 Not Found");
        writer.printl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writer.println();

        writer.println("<h1>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1>");
        writer.flush();
    }

    private String requestToString(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line;
        while ((line = reader.readLine()) != null) {
            if (line.isEmpty()) {
                break;
            }
            sb.append(line).append("\n");
        }

        return sb.toString();
    }
}
  • HTTP 요청 메시지의 시작 라인을 파싱하고, 요청 URL에 맞추어 응답을 전달한다.
    • GET / → home() 호출
    • GET /site1 → site1() 호출
  • 응답 시 원칙적으로 헤더에 메시지 바디의 크기를 계산해서 Content-Length를 전달해야 하지만, 예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생략했다.

검색 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요청이 온다.

  • GET /search?q=hello
  • URL에서 `?` 이후의 부분에 key1=value1&key2=value2 포맷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 이 부분을 파싱하면 요청하는 검색어를 알 수 있다.
  • 예제에서는 실제로 검색을 하는 것은 아니고, 요청하는 검색어를 간단히 출력한다.
  • URLDecoder는 바로 뒤에서 설명한다.

 

HttpServerV3

package cwchoiit.was.v3;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public class HttpServerV3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rivate final int port;

    public HttpServerV3(int port) {
        this.port = port;
    }

    public void start()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port);
        log("Starting HttpServerV2 server on port " + port);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es.submit(new HttpRequestHandlerV3(socket));
        }
    }
}

 

HttpServerMainV3

package cwchoiit.was.v3;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HttpServerMainV3 {

    private static final int PORT = 1234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new HttpServerV3(PORT).start();
    }
}

 

실행 결과

 

그럼 뒤에서 설명하겠다고 한 URLDecoder를 알아보자.

URL 인코딩

URL은 ASCII 문자집합을 사용한다.

 

URL이 ASCII를 사용하는 이유?

HTTP 메시지에서 시작 라인(URL을 포함)과 HTTP 헤더의 이름은 항상 ASCII를 사용해야 한다. HTTP 메시지 바디는 UTF-8과 같은 다른 인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지금처럼 UTF-8이 표준화된 시대에 왜 URL은 ASCII만 사용할 수 있을까? 

  • 인터넷이 처음 설계되던 시기(1980 - 1990년대)에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은 ASCII 문자 집합을 사용했다. 
  •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장비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URL은 단일한 문자 인코딩 체계를 사용해야 했다. 그 당시 모든 시스템이 비 ASCII 문자를 처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ASCII는 가장 보편적이고 일관된 선택이었다.
  • HTTP URL이 ASCII만을 지원하는 이유는 초기 인터넷의 기술적 제약과 전 세계적인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선택이다.
  • 순수한 UTF-8로 URL을 표현하려면, 전 세계 모든 네트워크 장비, 서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시스템에서 ASCII 기반 표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한 UTF-8 URL을 사용하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HTTP 스펙은 매우 보수적이고, 호환성을 가장 우선시한다.

그렇다면 검색어로 사용하는 `/search?q=hello`를 사용할 때 `q=가나다` 같이 URL에 한글을 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선 웹 브라우저 URL 입력창에 다음 내용을 입력해보자.

`http://localhost:12345/search?q=가나다`

 

Search
• query: %EA%B0%80%EB%82%98%EB%8B%A4
• decode: 가나다

 

퍼센트(%) 인코딩

한글을 UTF-8 인코딩으로 표현하려면 한 글자에 3byte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가, 나, 다를 UTF-8 인코딩의 16진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가: EA, B0, 80 (3byte)
  • 나: EB, 82, 98 (3byte)
  • 다: EB, 8B, A4 (3byte)
참고로, 2진수는 (0, 1), 10진수는 (0-9), 16진수는(0-9, A, B, C, D, E, F) 로 표현한다.

 

URL은 ASCII 문자만 표현할 수 있으므로, UTF-8 문자를 표현할 수 없다. 그래서 한글 '가'를 예로 들면, '가'를 UTF-8의 16진수로 표현한 각각의 바이트 문자 앞에 %(퍼센트)를 붙이는 것이다. 

  • q=가
  • q=%EA%B0%80

이렇게 하면 약간 억지스럽긴 하지만, ASCII 문자를 사용해서 16진수로 표현된 UTF-8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EA%B0%80은 모두 ASCII에 포함되는 문자이다. 이렇게 각각의 16진수 byte를 문자로 표현하고, 해당 문자 앞에 %를 붙이는 것을 퍼센트(%) 인코딩이라고 한다. 

 

% 인코딩 후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면, 서버는 각각의 %를 제거하고 EA, B0, 80이라는 각 문자를 얻는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3개의 byte를 모아서 UTF-8로 디코딩하면 "가"라는 글자를 얻을 수 있다.

 

% 인코딩, 디코딩 진행 과정

  1. 클라이언트: '가' 전송 희망
  2. 클라이언트 % 인코딩: %EA%B0%80
    1. '가'를 UTF-8로 인코딩
    2. 'EA', 'B0', '80' (3byte) 획득
    3. 각 byte를 16진수 문자로 표현하고 각각의 앞에 %를 붙임
  3. 클라이언트 → 서버 전송 q=%EA%B0%80
  4. 서버: %EA%B0%80 ASCII 문자를 전달 받음
    1. %가 붙은 경우 디코딩해야 하는 문자로 인식
    2. EA, B0, 80을 byte로 변환, 3byte 획득
    3. EA, B0, 80을 UTF-8로 디코딩 → 문자 '가' 획득

 

자바가 제공하는 % 인코딩

자바가 제공하는 URLEncoder.encode(), URLDecoder.decode()를 사용하면, % 인코딩, 디코딩을 처리할 수 있다.

PercentEncodingMain

package cwchoiit.was.v3;

import java.net.URLDecoder;
import java.net.URLEncoder;
import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public class PercentEncoding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encode = URLEncoder.encode("가", StandardCharsets.UTF_8);
        System.out.println("encode = " + encode);

        String decode = URLDecoder.decode(encode, StandardCharsets.UTF_8);
        System.out.println("decode = " + decode);
    }
}

실행 결과

encode = %EA%B0%80
decode = 가

 

% 인코딩 정리

  • % 인코딩은 데이터 크기에서 보면 효율이 떨어진다. 문자 '가'는 단지 3byte만 필요하다. 그런데 % 인코딩을 사용하면 %EA%B0%80 무려 9byte가 사용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HTTP는 매우 보수적이다. 호환성을 최우선으로 한다. 그렇기에 이 방식을 여전히 사용중이다.

 

HTTP 서버4 - 요청, 응답

HTTP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는 각각 정해진 규칙이 있다.

  • GET, POST 같은 메서드
  • URL
  • 헤더
  • HTTP 버전, Content-Type, Content-Length

HTTP 요청 매시지와 응답 메시지는 규칙이 있으므로, 각 규칙에 맞추어 객체로 만들면, 단순히 String 문자로 다루는 것보다 훨씬 더 구조적이고 객체지향적인 편리한 코드를 만들 수 있다. HTTP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객체로 만들고, 이전에 작성한 코드도 리팩토링 해보자.

 

 

 

HttpRequest (HTTP 요청 메시지)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URLDecoder;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UTF_8;

public class HttpRequest {

    private String method;
    private String path;

    private final Map<String, String> queryParameters = new HashMap<>();
    private final Map<String, String> headers = new HashMap<>();

    public HttpRequest(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parseRequestLine(reader);
        parseHeaders(reader);
        parseBody(reader);
    }

    // GET /search?q=hello HTTP/1.1
    private void parseRequestLine(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String requestLine = reader.readLine();
        if (requestLine == null) {
            throw new IOException("EOF: No request line received");
        }
        String[] parts = requestLine.split(" ");
        if (parts.length != 3) {
            throw new IOException("Invalid request line format: " + requestLine);
        }

        method = parts[0].toUpperCase();
        String[] pathParts = parts[1].split("\\?");
        path = pathParts[0];

        if (pathParts.length > 1) {
            parseQueryParameters(pathParts[1]);
        }
    }

    // q=hello
    // key1=value1&key2=value2&key3=value3
    private void parseQueryParameters(String queryString) {
        for (String param : queryString.split("&")) {
            String[] keyValue = param.split("=");

            String key = URLDecoder.decode(keyValue[0], UTF_8);
            String value = keyValue.length > 1 ? URLDecoder.decode(keyValue[1], UTF_8) : "";

            queryParameters.put(key, value);
        }
    }
    private void parseHeaders(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String line;
        while (!(line = reader.readLine()).isEmpty()) {
            String[] headerParts = line.split(":");
            headers.put(headerParts[0].trim(), headerParts[1].trim());
        }
    }

    private void parseBody(BufferedReader reader) throws IOException {
        if (!headers.containsKey("Content-Length")) {
            return;
        }

        int contentLength = Integer.parseInt(headers.get("Content-Length"));
        char[] bodyChars = new char[contentLength];

        int read = reader.read(bodyChars);
        if (read != contentLength) {
            throw new IOException("Failed to read entire body. Expected " + contentLength + " bytes, but got " + read);
        }
        String body = new String(bodyChars);
        log("HTTP Message Body: " + body);

        String contentType = headers.get("Content-Type");
        if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equals(contentType)) {
            parseQueryParameters(body);
        }
    }

    public String getMethod() {
        return method;
    }

    public String getPath() {
        return path;
    }

    public String getParameter(String name) {
        return queryParameters.get(name);
    }

    public String getHeader(String name) {
        return headers.get(name);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HttpRequest{" +
                "method='" + method + '\'' +
                ", path='" + path + '\'' +
                ", queryParameters=" + queryParameters +
                ", headers=" + headers +
                '}';
    }
}
  • reader.readLine() → 클라이언트가 연결만 하고, 데이터 전송 없이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null이 반환된다. 이 경우 간단히 throw new IOException("EOF") 예외를 던지자.
    • 일부 브라우저의 경우 성능 최적화를 위해 TCP 연결을 추가로 하나 더 하는 경우가 있다.
    • 이때, 추가 연결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하면 TCP 연결은 하지만 데이터는 전송하지 않고, 연결을 끊게 된다. (참고만 하자)

HTTP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GET /search?q=hello HTTP/1.1
  Host: localhost:12345

 

시작 라인을 통해 method, path, queryParameters를 구할 수 있다.

  • method: GET
  • path: /search
  • queryParameters: [q=hello]

queryString, header의 경우, key=value 형식이기 때문에, Map을 사용하면 이후에 편리하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만약,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면 queryParametersMap에 저장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earch?q=hello&type=text
  • queryParameters: [q=hello, type=text]

(%)퍼센트 디코딩도 URLDecoder.decode()를 사용해서 처리한 다음에 Map에 보관한다. 따라서 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는 쪽에서는 퍼센트 디코딩을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 /search?q=%EA%B0%80
  • queryParameters: [q=가]

HTTP 명세에서 헤더가 끝나는 부분은 빈 라인으로 구분한다.

  • while (!(line = reader.readLine()).isEmpty())

이렇게 하면 시작 라인의 다양한 정보와 헤더를 객체로 구조화할 수 있다. 참고로 메시지 바디 부분은 아직 파싱하지 않았는데 뒤에서 설명한다. 그건 그렇고 이거 어디서 많이 본거 같다. 맞다. HttpServletRequest가 이런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HttpResponse (HTTP 응답 메시지)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public class HttpResponse {
    private final PrintWriter writer;
    private int statusCode;
    private final StringBuilder bodyBuilder = new StringBuilder();
    private String contentType = "text/html; charset=UTF-8";

    public HttpResponse(PrintWriter writer) {
        this.writer = writer;
    }

    public void setStatusCode(int statusCode) {
        this.statusCode = statusCode;
    }

    public void setContentType(String contentType) {
        this.contentType = contentType;
    }

    public void writeBody(String body) {
        bodyBuilder.append(body);
    }

    public void flush() {
        int contentLength = bodyBuilder.toString().getBytes(UTF_8).length;
        writer.println("HTTP/1.1 " + statusCode + " " + getReasonPhrase(statusCode));
        writer.println("Content-Type: " + contentType);
        writer.println("Content-Length: " + contentLength);
        writer.println();

        writer.println(bodyBuilder);
        writer.flush();
    }

    private String getReasonPhrase(int statusCode) {
        return switch (statusCode) {
            case 200 -> "OK";
            case 404 -> "Not Found";
            case 500 -> "Internal Server Error";
            default -> "Unknown";
        };
    }
}

 

HTTP 응답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Content-Length: 20
  
  <h1>Hello World</h1>

 

시작 라인

  • HTTP 버전: HTTP/1.1
  • 응답 코드: 200
  • 응답 코드의 간단한 설명: OK

응답 헤더

  • Content-Type: HTTP 메시지 바디에 들어있는 내용의 종류
  • Content-Length: HTTP 메시지 바디의 길이

 

HTTP 응답을 객체로 만들면 시작 라인, 응답 헤더를 구성하는 내용을 반복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HttpRequestHandlerV4

package cwchoiit.was.v4;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UTF_8;

public class HttpRequestHandlerV4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final Socket socket;

    public HttpRequestHandlerV4(Socket socket) throws IOException {
        this.socket = socket;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socket;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ocket.getInputStream(), UTF_8));
             PrintWriter writer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HttpRequest httpRequest = new HttpRequest(reader);
            HttpResponse httpResponse = new HttpResponse(writer);

            if (httpRequest.getPath().equals("/favicon.ico")) {
                log("favicon 요청");
                return;
            }

            log("HTTP 요청 정보 출력:");
            System.out.println(httpRequest);

            log("HTTP 응답 생성 중...");
            if (httpRequest.getPath().equals("/site1")) {
                site1(httpResponse);
            } else if (httpRequest.getPath().equals("/site2")) {
                site2(httpResponse);
            } else if (httpRequest.getPath().equals("/search")) {
                search(httpRequest, httpResponse);
            } else if (httpRequest.getPath().equals("/")) {
                home(httpResponse);
            } else {
                notFound(httpResponse);
            }

            httpResponse.flush();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ivate void site1(HttpResponse response) {
        response.writeBody("<h1>Site1</h1>");
    }

    private void site2(HttpResponse response) {
        response.writeBody("<h1>Site2</h1>");
    }

    private void search(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
        String query = request.getParameter("q");

        response.writeBody("<h1>Search</h1>");
        response.writeBody("<ul>");
        response.writeBody("<li>query = " + query + "</li>");
        response.writeBody("</ul>");
    }

    private void home(HttpResponse response) {
        response.writeBody("<h1>Home</h1>");
        response.writeBody("<ul>");
        response.writeBody("<li><a href='/site1'>site1</a></li>");
        response.writeBody("<li><a href='/site2'>site2</a></li>");
        response.writeBody("<li><a href='/search?q=hello'>search</a></li>");
        response.writeBody("</ul>");
    }

    private void notFound(HttpResponse response) {
        response.setStatusCode(404);
        response.writeBody("<h1>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1>");
    }
}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HttpRequest 객체를 만들어둔다. 이때, HttpResponse도 함께 만든다.
  • HttpRequest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 /search의 경우, 퍼센트 디코딩을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이미 HttpRequest에서 다 처리해두었다.
  • 응답의 경우 HttpResponse를 사용하고, HTTP 메시지 바디에 출력할 부분만 적어주면 된다. 나머지는 HttpResponse 객체가 알아서 대신 처리해준다.
  • response.flush()는 꼭 호출해줘야 한다. 그래야 실제 응답이 클라이언트에 전달된다.

 

HttpServerV4

package cwchoiit.was.v4;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public class HttpServerV4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rivate final int port;

    public HttpServerV4(int port) {
        this.port = port;
    }

    public void start()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port);
        log("Starting HttpServerV2 server on port " + port);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es.submit(new HttpRequestHandlerV4(socket));
        }
    }
}

 

HttpServerMainV4

package cwchoiit.was.v4;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HttpServerMainV4 {

    private static final int PORT = 1234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new HttpServerV4(PORT).start();
    }
}

 

실행 결과

  • 실행 결과는 기존과 동일하다.

 

정리

HttpRequest, HttpResponse 객체가 HTTP 요청과 응답을 구조화한 덕분에 많은 중복을 제거하고 또 코드도 매우 효과적으로 리팩토링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잘 생각해보면, 전체적인 코드가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
    • HttpServer, HttpRequestHandler, HttpRequest, HttpResponse
  •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 
    • home(), site1(), site2(), search(), notFound()

만약, 웹을 통한 회원 관리 프로그램 같은 서비스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면, 기존 코드에서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은 거의 재사용하고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만 추가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을 정말 잘 만든다면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은 다른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만들거나 따로 판매를 해도 될 것이다.

 

 

HTTP 서버5 - 커맨드 패턴 ⭐️

난 이 부분을 보고, 머리가 얼얼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거구나.. 싶었기 때문이다.

 

 

우선, 이전까지 ServerSocket을 활용해서 HTTP 서버를 열심히 만들어봤다. 열심히 만들고 나니,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을 본격적으로 구조화하고 싶어진다. 그래서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과 명확하게 분리해보자. 여기서 핵심은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은 코드 변경없이 재사용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은 was.httpserver 패키지에 넣어두자. 이 패키지에는 현재 HttpRequest, HttpResponse가 들어가 있다. 이후에 HttpServer, HttpRequestHandler도 잘 정리해서 추가해보자.

 

커맨드 패턴 도입

앞에서 다음 코드를 보고, 아마도 커맨드 패턴을 도입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if (request.getPath().equals("/site1")) {
      site1(response);
  } else if (request.getPath().equals("/site2")) {
      site2(response);
  } else if (request.getPath().equals("/search")) {
      search(request, response);
  } else if (request.getPath().equals("/")){
      home(response);
  } else {
      notFound(response);
  }

커맨드 패턴을 사용하면 확장성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을 분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커맨드 패턴을 도입해보자.

HttpServlet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interface HttpServlet {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 HttpServlet 이라는 이름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
    • HTTP, Server, Applet의 줄임말이다. (HTTP 서버에서 실행되는 작은 자바 프로그램 (애플릿))
    • 이 인터페이스의 service() 메서드가 있는데, 여기에 서비스 개발과 관련된 부분을 구현하면 된다.
    • 매개변수로 HttpRequest, HttpResponse가 전달된다.
    • HttpRequest를 통해서 HTTP 요청 정보를 꺼내고, HttpResponse를 통해서 필요한 응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정도면 충분하다. 

HttpServlet을 구현해서 서비스의 각 기능을 구현해보자.

 

서비스 서블릿들

 

HomeServlet

package cwchoiit.was.v5.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Home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writeBody("<h1>Home</h1>");
        response.writeBody("<ul>");
        response.writeBody("<li><a href='/site1'>site1</a></li>");
        response.writeBody("<li><a href='/site2'>site2</a></li>");
        response.writeBody("<li><a href='/search?q=hello'>search</a></li>");
        response.writeBody("</ul>");
    }
}

Site1Servlet

package cwchoiit.was.v5.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Site1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writeBody("<h1>Site1</h1>");
    }
}

Site2Servlet

package cwchoiit.was.v5.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Site2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writeBody("<h1>Site2</h1>");
    }
}

SearchServlet

package cwchoiit.was.v5.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Search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String query = request.getParameter("q");

        response.writeBody("<h1>Search</h1>");
        response.writeBody("<ul>");
        response.writeBody("<li>query = " + query + "</li>");
        response.writeBody("</ul>");
    }
}
  • HomeServlet, Site1Servlet, Site2Servlet, SearchServlet은 현재 프로젝트에서만 사용하는 개별 서비스를 위한 로직이다. 따라서 was.v5.servlet 패키지를 사용했다.

 

공용 서블릿들

 

NotFoundServlet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NotFound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tStatusCode(404);
        response.writeBody("<h1>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1>");
    }
}

InternalErrorServlet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InternalError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tStatusCode(500);
        response.writeBody("<h1>Internal Error</h1>");
    }
}

DiscardServlet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ques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Response;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Discard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 empty
    }
}
  • NotFoundServlet, InternalErrorServlet, DiscardServlet은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블릿이다. 따라서, was.httpserver.servlet 패키지를 사용했다.
  • NotFoundServlet은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서블릿이다.
  • InternalErrorServlet은 서버 내부에 오류가 있을 때, 500 응답을 보여주기 위한 서블릿이다.
  • DiscardServlet은 `/favicon.ico`와 같은 요청을 무시할 때 사용하는 서블릿이다.

 

이제 HttpServlet을 관리하고 실행시키는 ServletManager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그 전에 페이지를 찾지 못했을 때 터뜨리는 예외 클래스 하나를 만들어주자.

PageNotFoundException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public class PageNotFound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PageNotFound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

 

ServletManager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cwchoiit.was.httpserver.servlet.InternalErrorServlet;
import cwchoiit.was.httpserver.servlet.NotFound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public class ServletManager {
    private final Map<String, HttpServlet> servletMap = new HashMap<>();
    private HttpServlet defaultServlet;
    private HttpServlet notFoundErrorServlet = new NotFoundServlet();
    private HttpServlet internalErrorServlet = new InternalErrorServlet();

    public ServletManager() {
    }

    public void add(String path, HttpServlet servlet) {
        servletMap.put(path, servlet);
    }

    public void setDefaultServlet(HttpServlet defaultServlet) {
        this.defaultServlet = defaultServlet;
    }

    public void setNotFoundErrorServlet(HttpServlet notFoundErrorServlet) {
        this.notFoundErrorServlet = notFoundErrorServlet;
    }

    public void setInternalErrorServlet(HttpServlet internalErrorServlet) {
        this.internalErrorServlet = internalErrorServlet;
    }

    public void execute(HttpRequest request, 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try {

            HttpServlet servlet = servletMap.getOrDefault(request.getPath(), defaultServlet);
            if (servlet == null) {
                throw new PageNotFoundException("Page not found: " + request.getPath());
            }

            servlet.service(request, response);

        } catch (PageNotFoun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notFoundErrorServlet.service(request, response);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internalErrorServlet.service(request, response);
        }
    }
}
  • ServletManager는 설정을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다.
  • was.httpserver 패키지에서 공용으로 사용한다.
  • servletMap 
    • ["/" = HomeServlet, "/site1" = Site1Servlet, ...]과 같이 key/value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URL의 요청 경로가 Key이다.
  • defaultServlet: HttpServlet을 찾지 못할 때 기본으로 실행된다.
  • notFoundErrorServlet: PageNotFoundException이 발생할 때 실행한다.  URL 요청 경로를 servletMap에서 찾을 수 없고, defaultServlet도 없는 경우 PageNotFoundException을 던진다.
  • InternalErrorServlet: 처리할 수 없는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실행된다.

 

HttpRequestHandler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UTF_8;

public class HttpRequestHandler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final Socket socket;
    private final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

    public HttpRequestHandler(Socket socket,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 throws IOException {
        this.socket = socket;
        this.servletManager = servletManager;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socket;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ocket.getInputStream(), UTF_8));
             PrintWriter writer = new PrintWriter(socket.getOutputStream(), false, UTF_8)) {

            HttpRequest httpRequest = new HttpRequest(reader);
            HttpResponse httpResponse = new HttpResponse(writer);

            log("HTTP 요청: " + httpRequest);
            servletManager.execute(httpRequest, httpResponse);
            httpResponse.flush();
            log("HTTP 응답 완료");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
  • was.httpserver 패키지에서 공용으로 사용한다.
  • HttpRequestHandler의 역할이 단순해졌다.
  • HttpRequest, HttpResponse를 만들고, servletManager에 전달하면 된다.

 

HttpServer

package cwchoiit.was.httpserv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cwchoiit.util.MyLogger.log;

public class HttpServer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rivate final int port;
    private final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

    public HttpServer(int port,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 {
        this.port = port;
        this.servletManager = servletManager;
    }

    public void start()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port);
        log("Starting HttpServer on listening port " + port);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es.submit(new HttpRequestHandler(socket, servletManager));
        }
    }
}
  • was.httpserver 패키지에서 공용으로 사용한다.
  • 기존과 거의 같지만, HttpRequestHandler가 이제 생성자로 ServletManager를 받기 때문에 그 부분만 추가됐다.

ServerMainV5

package cwchoiit.was.v5;

import cwchoiit.was.httpserver.HttpServer;
import cwchoiit.was.httpserver.ServletManager;
import cwchoiit.was.httpserver.servlet.DiscardServlet;
import cwchoiit.was.v5.servlet.HomeServlet;
import cwchoiit.was.v5.servlet.SearchServlet;
import cwchoiit.was.v5.servlet.Site1Servlet;
import cwchoiit.was.v5.servlet.Site2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ServerMainV5 {

    private static final int PORT = 1234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 = new ServletManager();

        servletManager.add("/", new HomeServlet());
        servletManager.add("/site1", new Site1Servlet());
        servletManager.add("/site2", new Site2Servlet());
        servletManager.add("/search", new SearchServlet());
        servletManager.add("/favicon.ico", new DiscardServlet());

        new HttpServer(PORT, servletManager).start();
    }
}
  • 먼저 필요한 서블릿(HttpServlet)들을 서블릿 매니저에 등록하자. 이 부분이 바로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들이다. 그리고 HttpServer를 생성하면서, 서블릿 매니저를 전달하면 된다.
  • `/favicon.ico`의 경우 아무일도 하지 않고 요청을 무시하는 DiscardServlet을 사용했다.

 

실행 결과

  • 기존과 실행 결과는 같다.

 

정리

이제 HTTP 서버와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다.

 

HTTP 서버와 관련된 부분 - was.httpserver 패키지

  • HttpServer, HttpRequestHandler, HttpRequest, HttpResponse
  • HttpServlet, ServletManager
  • was.httpserver.servlet 패키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서블릿들)
    • InternalErrorServlet, NotFoundServlet, DiscardServlet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직 - v5.servlet 패키지

  • HomeServlet
  • Site1Servlet
  • Site2Servlet
  • SearchServlet

 

이후, 다른 HTTP 기반의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한다면, HTTP 서버와 관련된 was.httpserver 패키지의 코드를 그대로 재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에 필요한 서블릿을 구현하고, 서블릿 매니저에 등록한 다음에 서버를 실행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새로운 HTTP 서비스(프로젝트)를 만들어도, was.httpserver 부분의 코드를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고 또 전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이 부분을 공부하고 얼얼했던 이유는, Servlet,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가 이런 구조로 만들어졌구나를 깨달았기 때문이다. 아마 위 코드에서 서블릿 매니저에 서블릿을 등록하는 것은 애노테이션으로 Path를 넣어주면 그 애노테이션을 쭉 훑으면서 저 부분을 채워줄 것으로 예상한다. 너무 신기하고 재밌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사

만든 was.httpserver 패키지를 사용하면 누구나 손쉽게 HTTP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복잡한 네트워크, 멀티스레드, HTTP 메시지 파싱에 대한 부분을 모두 여기서 해결해준다. was.httpserver 패키지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단순히 HttpServlet의 구현체만 만들면, 필요한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was.httpserver 패키지의 코드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오픈소스로 공개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HTTP 기반의 프로젝트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HTTP 서버와 관련된 코드를 정말 잘 만들어서, 이 부분을 상업용으로 판매할 수도 있을것이다. 그리고 이런 패키지가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Servlet이다.

 

서블릿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서블릿은 Servlet, HttpServlet, ServletRequest, ServletResponse를 포함한 많은 표준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was.httpserver 패키지에서 만든 것들과 다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들이다. 서블릿을 제공하는 주요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는 다음과 같다.

  • 오픈소스
    • Apache Tomcat
    • Jetty
    • Undertow
  • 상용
    • IBM WebSphere
    • Oracle WebLogic
참고로, 보통 자바 진영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라고 하면 서블릿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를 뜻한다.

 

 

표준화의 장점

HTTP 서버를 만드는 회사들이 서블릿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공한 덕분에, 개발자는 jakarta.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된다. 그리고 Apache Tomcat 같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작성한 Servlet 구현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다가 만약, 성능이나 부가 기능이 더 필요해서 상용 WAS로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오픈소스로 WAS를 변경해도 기능 변경없이 구현한 서블릿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JAVA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노테이션  (6) 2024.10.21
리플렉션  (6) 2024.10.21
Socket을 이용한 채팅 프로그램 만들기  (0) 2024.10.18
네트워크 2 (Socket)  (4) 2024.10.16
네트워크 1 (Socket)  (2) 2024.10.15

+ Recent posts